ARS 상담전화 대치. 02-565-0715 분당. 031-786-0715

아토즈 논술ㆍ구술 아카데미

ATOZ
수강 신청 및 상담
대치. 02-565-0715
분당. 031-786-0715
    공유하기

    2018 수시 이화여대 기독교학과, 숙명여대 홍보광고학과 합격 : 배OO

    2018 수시 이화여대 기독교학과, 숙명여대 홍보광고학과 합격 : OO

     

    안녕하세요! 저는 아토즈 논술 손태석 선생님의 논술 강의를 수강하고 올해 수시 논술에 합격한 배OO이라고 합니다. 저는 고3 4월 즈음에 손태석 선생님의 강의를 통해 난생 처음 논술을 접하게 되었고 그 이후 손태석 선생님의 정규반 수업, 파이널 강의 모두 꾸준히 수강하였습니다.

     

    저는 고2때부터 내신을 챙기기 시작해 내신이 낮은 편이었고 교내 활동이 적어 종합으로도 교과로도 수시 원서를 쓸 수 없었던 상황이었습니다. 그런 저에게 주어진 6장의 카드를 가장 의미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 고민했고 그 답은 논술이었습니다. 너무도 높은 경쟁률과 한참 부족한 제 실력에 논술 준비를 하면서도 끊임없이 망설이고 절망하곤 했지만 그래도 끝까지 선생님을 믿고 논술 준비를 한 결과 제 정시 성적과 내신 성적으로는 원서조차 써볼 수 없는 대학에 합격하게 되었습니다.

     

    우선, 선생님 강의의 큰 장점은 제시문에서 문제가 요구하는 핵심 키워드들을 빠르게 선별하여 자신만의 표현으로 요약, 정리하기가 수월하다는 것입니다 처음 논술을 접하면 중요한 내용과 불필요한 내용을 잘 구별하지 못하거나 잘못 독해해서 답안의 분량을 허투루 쓰거나 문제가 요구하는 핵심 내용을 빼먹어 좋지 못한 답안을 작성하는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. 저 또한 독해력이 부족한 편은 아니었음에도 처음엔 꼭 필요한 내용만을 독해하는 것이 너무 어려웠습니다. 선생님께서는 단순하게 매수업마다 주어진 제시문을 정리해주시기보다는 각 제시문에서 꼭 필요한 핵심 키워드들을 읽어내는 방법, 그것을 자신만의 표현으로 바꾸는 훈련을 많이 시켜주시기 때문에 독해력이 부족하거나 답안 작성 시 채점기준표에 있는 핵심 내용을 늘 놓쳐 감점을 받는 친구들은 선생님의 강의를 수강함으로써 이를 보완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. , 저는 평소 글을 쓰는 속도가 느려 학교 논술시험이나 처음 정규반 수업을 들을 당시 늘 시간에 쫓기고 마지막까지 펜을 잡고 있는 학생 중 하나였습니다. 그렇지만 손태석 선생님이 가르쳐주신 방식으로 제시문을 독해하고 글의 개요를 설정함으로써 답안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은 줄이면서도 문제에서 요구하는 핵심논지를 놓치지 않고 답안에 작성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이대나 숙대와 같은 여대는 타 대학에 비해 작성해야 하는 답안의 길이가 길고 고사 시간은 짧기 때문에 시간 배분에 어려움을 겪었었는데, 선생님의 강의를 들으며 연습했던 독해 방식을 통해 고사장에 갔을 때 제시문을 빠르게 정리하고 글의 개요를 짬으로써 시간에 쫓기지 않고 안정적으로 답안 작성을 완성하고 나올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

     

    그리고 선생님께 정규반 수업을 들을 당시 논술 강의도 너무 좋았지만 그 뿐만 아니라 고3 수험생활에 대한 조언, 학생부나 수시 원서 작성에 대한 자문도 구할 수 있어서 입시 정보가 많이 부족했던 제가 큰 어려움 없이 수시 원서 작성을 할 수 있었습니다.

     

    마지막으로 저는 평소 제시문이 어려워 답안을 잘 작성하지 못할 때나 늘 비슷비슷한 표현과 문장을 사용할 때가 많았는데 이때 우수 답안을 많이 읽어보고 이를 옮겨 적어 보거나 선생님께서 사용하시는 독창적인 표현을 많이 습득해뒀다가 다음번에 답안을 작성할 때 이를 활용하고자 노력했습니다. 혹시 저와 비슷한 고민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있다면 선생님의 강의를 들으며 눈에 띄는 표현이 있다면 따로 정리해두거나 적어두고 종종 활용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.

     

    손태석 쌤 덕분에 대학 합격해서 너무 기쁘고 감사합니다.

     

    다들 태석 쌤 강의 듣고 대박나세요~!

    공유하기
    등록일
    2018-02-08 21:05
    조회
    264